반응형
[건폐율 / 용적률] 준주거지역, 자연녹지, 자연취락지구, 계획관리지역, 보전관리지역, 생산녹지
도시계획이나 부동산 투자에서 건폐율과 용적률은 개발 가능성을 결정짓는 핵심 지표입니다.
아래에 6개 지역(준주거·자연녹지·자연취락·계획관리·보전관리·생산녹지)의 건폐율 / 용적률 기준표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👇
반응형
🏗️ [건폐율 / 용적률 기본 개념 정리
구분 | 의미 | 비고 |
건폐율(建蔽率) | 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 비율 | 건물이 ‘얼마나 땅을 덮는가’ |
용적률(容積率) | 대지면적 대비 연면적 비율 | 건물이 ‘얼마나 높이 지을 수 있는가’ |
📊 주요 지역별 건폐율·용적률 요약표
구분 | 건폐율(%) | 용적률(%) | 특징 및 설명 |
🏙️ 준주거지역 | 70% 이하 | 400~500% 이하 | 주거+상업 혼합 가능, 상가주택·오피스텔 등 밀집지역 |
🌳 자연녹지지역 | 20% 이하 | 100% 이하 | 도시 외곽 완충지대, 공원·학교·저층주택 중심 |
🏡 자연취락지구 | 60% 이하 | 100% 이하 | 기존 마을 보호 목적, 농촌·산촌 마을 중심 |
🏞️ 계획관리지역 | 40% 이하 | 100~150% 이하 | 개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비도시지역, 펜션·전원주택 가능 |
🌲 보전관리지역 | 20% 이하 | 80% 이하 | 환경 보전 중점, 개발 제한 많음 |
🌾 생산녹지지역 | 20% 이하 | 100% 이하 | 농업 중심 지역, 비주거용 건축물 제한 |
💬 지역별 추가 해설
1️⃣ 준주거지역
- 도시 내 주택과 상업시설이 함께 존재하는 지역
- 대표 예: 역세권, 주요도로변 오피스텔 밀집지
- 활용: 상가주택, 소형 오피스, 원룸주택
- 건폐율 70% / 용적률 400~500% → 고밀개발 가능
2️⃣ 자연녹지지역
- 도시 외곽, 자연환경 보전과 완충 역할
- 활용: 단독주택, 근린생활시설(소규모) 가능
- 건폐율 20% / 용적률 100% 이하 → 개발 제한적
3️⃣ 자연취락지구
- 기존 마을(취락)을 보호하기 위한 지구단위 지정 지역
- 활용: 농가주택, 근린생활시설(소규모 마을 상점) 가능
- 건폐율 60% / 용적률 100% 이하
4️⃣ 계획관리지역
- 비도시지역 중 개발이 가장 자유로운 지역
- 활용: 전원주택, 펜션, 창고, 카페, 식당 등 다양
- 건폐율 40% / 용적률 100~150%
-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토지 유형
5️⃣ 보전관리지역
- 환경·수질·산림 등 보전이 우선
- 활용: 농림·임업 관련 시설 위주
- 건폐율 20% / 용적률 80% 이하
- 개발행위 허가 까다로움
6️⃣ 생산녹지지역
- 농업 생산 활동 중심
- 활용: 농가주택, 농업시설(창고, 비닐하우스 등)
- 건폐율 20% / 용적률 100% 이하
- 주거·상업용 개발 거의 불가
📍 건폐율 / 용적률 Tip
건폐율·용적률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±10% 정도 조정될 수 있습니다.
→ 예: 제주, 강원, 완도 등은 자연환경보전 이유로 기준이 더 낮을 수 있어요.
반응형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, 주택, 아파트, 기준, 전매제한, 의무거주기간 (0) | 2025.10.12 |
---|---|
24평, 32평, 34평, 40평 아파트 리모델링 비용, 분담금, 절감 방법 (0) | 2025.10.12 |
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- DSR 계산법, DSR 기준, DSR 3단계, DSR 대출규제, DSR 제외 대출 (0) | 2025.10.12 |
오피스텔 임대사업 수익률, 임대소득 세금, 임대사업자혜택, 투자가치 (0) | 2025.10.12 |
주담대(주택담보대출) 이자 계산기 - 2억 30년 월상환액 비교(원금+이자) 금리(3%, 4% , 5%) (0) | 2025.10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