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- DSR 계산법, DSR 기준, DSR 3단계, DSR 대출규제, DSR 제외 대출
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은 요즘 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, 전세자금대출 등을 받을 때 가장 핵심적인 규제 기준입니다.
아래에 DSR의 개념 → DSR계산법 → DSR규제 기준(3단계) → DSR제외 대출까지 깔끔히 정리해드릴게요.
반응형
📘 1️⃣ DSR의 기본 개념
DSR (Debt Service Ratio,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 → 개인이 보유한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.
즉,
📏 DSR = (연간 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) × 100
예시 연소득이 6,000만 원이고, 연간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2,400만 원이면 → DSR = 2,400 ÷ 6,000 = 40% 즉, 연소득의 40%가 대출 상환에 쓰인다는 뜻이에요. |
🧮 2️⃣ DSR 계산법 (구체식)
연간 원리금 상환액 계산 =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+ 신용대출 원리금 + 자동차할부 + 카드론 등
(모든 금융기관 대출 포함, 연간 기준으로 환산)
그리고
DSR = (총 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) × 100
📌 예시 DSR 계산
항목 | 대출금액 | 금리 | 기간 | 월 상환액 | 연간 상환액 |
주택담보대출 | 2억 | 4% | 30년 | 954,000원 | 11,448,000원 |
신용대출 | 5,000만 | 6% | 5년 | 966,000원 | 11,592,000원 |
합계 | 23,040,000원 |
연소득 6,000만 원이면 → DSR = (2,304만 ÷ 6,000만) × 100 = 38.4%
즉, 총 DSR 38.4%로 규제 기준(40%) 이하이므로 가능.
⚖️ 3️⃣DSR 규제 기준 (1·2·3단계)
구분 | 내용 | 적용 시기 / 대상 |
1단계 (2021) | 시중은행 개인별 DSR 40% 적용 시작 (비은행은 60%) | 총대출액 2억 원 초과 |
2단계 (2022) | 총대출액 1억 원 초과 시 DSR 적용 | 차주 단위 DSR 본격 확대 |
3단계 (2023~현재) | 모든 금융권, 총대출액 1억 원 초과 시 DSR 적용 은행 40%, 비은행 50~60% |
(단, 2024년부터 일부 완화 논의 중) |
📌 요약
- 은행권: DSR 40%
- 비은행권(저축은행, 캐피탈 등): DSR 50~60%
- 대출 합산 금액이 1억 원 초과하면 개인별 DSR 계산 필수
🚧 4️⃣ DSR 대출규제 주요 포인트
구분 | 내용 |
적용 대상 | 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, 자동차 할부, 카드론 등 대부분의 대출 |
한도 영향 | DSR 40% 기준을 초과하면 대출 한도 자동 축소 |
예외 지역 | 일부 정책금융, 전세대출 등은 제외(아래 참고) |
부부합산 적용 X | 개인별 기준 적용 (배우자 소득은 별도 대출 심사 시만 반영) |
금리 상승 영향 |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액이 늘어나 DSR 상승 → 한도 감소 |
⛔ 5️⃣ DSR 적용 제외 대출
다음 대출들은 원칙적으로 DSR 계산에서 제외되거나 부분만 반영됩니다 👇
구분 | DSR 반영 여부 | 비고 |
전세자금대출 | ❌ 제외 | 보증금 반환 목적, 임차 목적이므로 원리금 상환 개념 아님 |
신혼부부·청년 버팀목대출 | ❌ 제외 | 정책금융상품 |
햇살론·사잇돌대출 등 정책서민금융 | ❌ 제외 | 저신용자·저소득층 지원 대출 |
학자금 대출 | ❌ 제외 | 사회초년생 배려 |
예·적금 담보대출 | ❌ 제외 | 사실상 자기자금 담보 |
보험계약대출 | ❌ 제외 | 자기자산 기반 대출 |
기업·사업자 대출(운영자금) | ⚠️ 일부 제외 | 개인사업자용 대출은 구분 적용 |
자동차 할부·리스 | ✅ 포함 | 소비성 대출로 간주 |
💡 6️⃣ DSR 관리 팁 & 전략
전략 | 설명 |
① 신용대출 먼저 줄이기 | 단기 신용대출은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서 DSR을 크게 올림 |
② 소득 증빙 늘리기 | 근로소득 외 사업소득, 임대소득 등도 인정받으면 DSR 개선 |
③ 만기 연장 활용 | 상환기간을 늘리면 월 원리금이 줄어 DSR 하락 효과 |
④ 정책대출 적극 활용 | 전세대출, 디딤돌, 보금자리론 등은 DSR 예외라 한도 보완 가능 |
🧭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 요약정리
구분 | 내용 |
DSR 정의 | 연간 총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 × 100 |
은행 기준 | 40% 이내 (비은행 50~60%) |
적용 시점 | 총대출액 1억 원 초과 시 (2023년 이후) |
제외 대출 | 전세대출, 정책금융, 예적금담보 등 |
핵심 팁 | 신용대출 줄이고, 소득 증빙 늘리기, 만기 연장 활용 |
반응형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평, 32평, 34평, 40평 아파트 리모델링 비용, 분담금, 절감 방법 (0) | 2025.10.12 |
---|---|
[건폐율 / 용적률] 준주거지역, 자연녹지, 자연취락지구, 계획관리지역, 보전관리지역, 생산녹지 (0) | 2025.10.12 |
오피스텔 임대사업 수익률, 임대소득 세금, 임대사업자혜택, 투자가치 (0) | 2025.10.12 |
주담대(주택담보대출) 이자 계산기 - 2억 30년 월상환액 비교(원금+이자) 금리(3%, 4% , 5%) (0) | 2025.10.12 |
주담대(주택담보대출) 계산기 - 3억 30년 월상환액 비교(원금+이자) 금리(3%, 4% , 5%) (0) | 2025.10.11 |
댓글